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 강진이 발생하면서 인접국 태국에도 큰 영향을 받았다는 안타까운 소식이네요.
제 지인 중에 지금 태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다행히 큰 일없이 안전하다고는 하는데
다들 정말 죽는줄 알았다고 하더군요.
아직도 손이 떨릴만큼 놀랐던 경험이라 앞으로 선물로 받은 새 생명이라는 생각으로 살아야겠다는 말을 전하더군요.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간혹 발생하긴 하지만 아직까지 큰 지진을 경험해보지 않아 그 두려움이 어느정도일지 상상이 가질 않네요.
모두 안 전히 별 사고 없길 바라며 이참에 지진에 대해 포스팅을 해봅니다.
#1. 지진이란?
지진(Earthquake)은 지각이 갑작스럽게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진동 현상입니다. 지진은 자연재해 중 하나로, 강한 지진은 건물 붕괴, 쓰나미, 산사태 등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진은 어떻게 발생하며, 어떤 기준으로 강도를 측정할까요?
#2.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
1) 판 구조론(Plate Tectonics)
지구의 표면은 여러 개의 거대한 판(tectonic plates)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판들은 맨틀의 대류로 인해 서로 밀거나 당기거나 미끄러지며 이동합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쌓이다가 한순간에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2) 단층 운동(Fault Movement)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층은 일정한 힘을 받으면 변형되거나 끊어집니다. 이러한 지각의 균열이 단층(fault)이며, 단층이 움직이면서 지진이 발생합니다.
- 활단층(Active Fault): 현재도 움직이며 지진을 유발하는 단층
- 사장단층(Inactive Fault): 오랫동안 활동이 없는 단층
3) 화산 활동(Volcanic Activity)
화산이 폭발할 때도 지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그마가 지각을 뚫고 올라오면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며, 이는 국지적인 지진을 일으킵니다.
4) 인공지진(Induced Earthquakes)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진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댐 건설, 지하 자원 채굴, 지열 발전소 운영 등이 지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지진 발생 과정
- 응력 축적(Stage 1): 지각이 지속적으로 힘을 받으며 변형됩니다.
- 균열 발생(Stage 2): 축적된 응력이 임계점을 넘으면 단층이 움직이며 균열이 발생합니다.
- 에너지 방출(Stage 3): 지각이 급격히 이동하며 강한 진동(지진파)을 방출합니다.
- 여진 발생(Stage 4): 주진(Main Shock) 이후에도 응력이 해소되지 않아 작은 지진(여진)이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지진의 강도 측정 기준
지진의 규모와 피해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리히터 규모(Richter Scale)
리히터 규모는 지진 발생 시 방출되는 에너지를 측정하는 단위로, 숫자가 1 증가할 때마다 에너지는 약 32배 증가합니다.
- 3.0 미만: 대부분 감지되지 않음
- 3.0~4.9: 가벼운 흔들림
- 5.0~6.9: 건물에 피해 발생 가능
- 7.0 이상: 대규모 피해 유발 가능
- 9.0 이상: 대륙 단층 이동을 초래하는 초강력 지진
2) 진도(MMI, 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
진도는 사람들이 느끼는 흔들림 정도와 구조물 피해 수준을 기준으로 지진의 강도를 평가합니다.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보통 I(거의 느껴지지 않음)부터 XII(완전 파괴)까지 구분됩니다.
#5. 지진 피해 예방 및 대처 방법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전 대비와 즉각적인 대처가 중요합니다.
1) 지진 대비 방법
- 내진 설계된 건물을 선택하고 점검하기
- 가구 고정 및 응급 물품 준비하기
- 가족과 비상 대피 계획 세우기
2) 지진 발생 시 행동 요령
- 실내에 있을 경우: 책상이나 단단한 구조물 아래로 대피
- 실외에 있을 경우: 건물, 전선, 나무에서 멀리 떨어지기
- 운전 중일 경우: 차량을 도로 가장자리로 이동 후 정차
지진은 자연재해 중에서도 예측이 어려운 현상이지만, 지진의 원인과 진행 과정을 이해하고 대비한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내진 설계 건물 이용, 비상 물품 준비, 적절한 대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지진 대비에 대한 관심과 대비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잘 알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란? 공매도 재개의 영향과 사회적 파장 (1) | 2025.03.31 |
---|---|
연금개혁의 모든 것: 쉽게 이해하는 장단점 분석 (2) | 2025.03.29 |
감기 vs. 독감 vs. 몸살 – 차이점과 예방법 총정리! (0) | 2025.03.27 |
피부 건강의 A to Z! 놓치면 후회하는 자외선 차단제 완벽 가이드 (1) | 2025.03.27 |
전국민마음투자 지원사업 안내 : 무료로 심리 상담 받으세요. (1) | 2025.03.26 |